[구현] 07 럭키 스트레이트
07 럭키 스트레이트
구현이란?
- 머릿속에 있는 알고리즘을 정확하고 빠르게 프로그램으로 작성하는 과정
- 간결하고 효율적으로 코드를 작성해보자
- 구현 내 알고리즘 문제 유형
- 완전 탐색 유형: 모든 경우의 수를 계산
- 반복문, 재귀 함수를 사용하여 예외 케이스 모두 확인해야한다.
- 순열, 조합: 표준 라이브러리 itertools 사용
- 시물레이션 유형: 문제에서 제시하는 논리나 동작 과정을 그대로 코드로 옮기기
- 복잡한 구현 요구 사항을 그대로 코드로 옮겨야한다.
- 완전 탐색 유형: 모든 경우의 수를 계산
문제
어떤 게임의 아웃복서 캐릭터에게는 럭키 스트레이트라는 기술이 존재한다. 이 기술은 매우 강력한 대신에 항상 사용할 수는 없으며, 현재 게임 내에서 점수가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만 사용할 수 있다.
특정 조건이란 현재 캐릭터의 점수를 N이라고 할 때 점수 N을 자릿수를 기준으로 반으로 나누어 왼쪽 부분의 각 자릿수의 합과 오른쪽 부분의 각 자릿수의 합을 더한 값이 동일한 상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현재 점수가 123,402라면 왼쪽 부분의 각 자릿수의 합은 1+2+3, 오른쪽 부분의 각 자릿수의 합은 4+0+2이므로 두 합이 6으로 동일하여 럭키 스트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점수 N이 주어졌을 때, 럭키 스트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를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럭키 스트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면 “LUCKY
“를, 사용할 수 없다면 “READY
“라는 단어를 출력한다. 또한 점수 N의 자릿수는 항상 짝수 형태로만 주어진다. 예를 들어 자릿수가 5인 12,345와 같은 수는 입력으로 들어오지 않는다.
입력 조건
- 첫째 줄에 점수 N 이 정수로 주어진다. (10 ≤ N ≤ 99,999,999) 단, 점수 N 의 자릿수는 항상 짝수 형태로만 주어진다.
출력 조건
- 첫째 줄에 럭키 스트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면 “
LUCKY
“를, 사용할 수 없다면 “READY
“라는 단어를 출력한다.
입력 예시
123402
출력 예시
LUCKY
7755
READY
사고 과정
- 럭키 스트레이트는 점수가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사용 가능하다. 특정 조건: 점수 N의 자릿수를 절반으로 쪼개서, (N의 왼쪽 부분의 합 == N의 오른쪽 부분의 합)일 때 ex) 123402 => 1+2+3 = 4+0+2 => 럭키 스트레이트 사용 가능
풀이
나의 코드
n = list(map(int,list(input())))
front = sum(n[:int(len(n)/2)])
back = sum(n[int(len(n)/2):])
if front == back:
print('LUCKY')
else:
print('READY')
💡사고 과정 흐름을 공식화하자
- 리스트 슬라이싱에서 인덱스를 나눌 때, int()를 사용해서 실수형을 정수형으로 변환해줘야한다.
- front = sum(n[:int(len(n)/2)])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