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ds-On ML] 11장 심층 신경망 훈련하기(1) - 그레디언트 소실 & ReLU
“핸즈온 머신러닝”의 “11장 심층 신경망 훈련하기” 파트를 읽고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그레디언트 소실과 ReLU 활성화 함수에 대해 다뤄볼 것이다.
11장 심층 신경망 훈련하기
심층 신경망 훈련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을 알아보자
-
그레이디언트 소실, 폭주 문제
-
레이블된 훈련 데이터가 적을 때 => 전이 학습 & 비지도 학습으로 해결
-
대규모 모델의 훈련 속도 증가시키는 최적화 방법
-
대규모 신경망 과대적합을 막기 위한 규제 기법
11.1 그레이디언트 소실과 폭주 문제
-
역전파 알고리즘: 출력층에서 입력층으로 오차 그레디언트를 전파하면서 진행된다. 각 층의 모든 그레디언트를 구하면 경사 하강법 단계에서 그레디언트를 이용해서 각 파라미터를 수정한다.
-
그레이디언트 소실이란: 알고리즘이 하위층으로 진행될 수록 그레이디언트가 점점 작아져 0으로 수렴되는 현상이다.
-
그레이디언트 폭주란: 그레이디언트가 점점 커져서 여러층이 비정상적으로 큰 가중치로 갱신되어 발산하는 현상이다. RNN에서 주로 나타난다.
-
그레디언트가 불안정해지면 층마다 학습 속도가 달라지고 잘 훈련되지 않는다.
-
그레디언트가 불안정해지는 이유
-
로지스틱 시그모이드 활성화 함수
-
가중치 초기화 방법(표준정규분포)
-
-
층을 지날 때마다 분산이 커져 가장 높은 층에서는 활성화 함수가 0이나 1로 수렴하게 된다.
-
로지스틱 출력의 평균이 0이 아니라 0.5이므로 출력의 가중치 합이 입력보다 커지는 편향 이동이 발생한다. 로지스틱 입력이 커지면 0이나 1로 수렴하여 기울기가 0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역전파가 될 때 사실상 신경망으로 전파할 그레디언트가 0으로 수렴한다.
11.1.1 글로럿과 He 초기화
글로럿과 벤지오가 불안정한 그레디언트 문제 완화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
예측을 할 때는 정방향으로, 그레디언트를 역전파할 때는 역방향으로 신호가 흐를 때, 중간에 신호가 죽거나 폭주 또는 소멸하지 않아야한다.
-
각 층의 출력에 대한 분산이 입력의 분산과 같아야한다.
-
역방향에서 층을 통과하기 전후의 그레디언트 분산이 같아야한다.
글로럿 초기화(세이비어 초기화)
각 층의 연결 가중치를 아래와 같이 무작위로 초기화 하기
- 글로럿 초기화 방법을 사용하면 그레디언트가 폭주하거나 소멸하지 않아 훈련 속도를 상당히 높아질 수 있다.
He 초기화
글로럿 초기화 전략에 활성화 함수를 ReLU로한 초기화 방법이다.
케라스는 균등분포의 글로럿 초기화를 사용한다. He 초기화 방법을 사용하고 싶으면 아래 코드를 작성하면 된다.
keras.layers.Dense(10, activation='relu', kernel_initializer='he_normal')
# 또는 분산을 바꾸고 싶으면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he_avg_init = keras.initializers.VarianceScaling(scale=2., mode='fan_avg',
distribution='uniform')
keras.layers.Dense(10, activation='sigmoid', kernel_initializer=he_avg_init)
11.1.2 수렴하지 않는 활성화 함수
활성화 함수를 잘못 선택하면 그레디언트의 소실이나 폭주로 이어질 수 있다.
ReLU 활성화 함수를 선택하자!
ReLU
-
ReLU 장점
- ReLU 함수는 입력값이 커져도 특정 값에 수렴하지 않는다. 또한 계산도 빠르다.
-
ReLU 단점: 죽은 ReLU
-
훈련하는 동안 일부 뉴런이 0의 값만 출력하는 현상이다.
-
특히 큰 학습률을 사용하면 뉴런 절반이 죽는다.
-
모든 샘플에 대해 입력의 가중치 합이 음수가 나오면 ReLU 함수의 그레디언트가 0이 되므로 경사하강법이 작동하지 않는다. (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계속 0이 나오기 때문!)
-
LeakyReLU
LeakyReLU = max(az, z)
-
하이퍼파라미터 a가 z가 음수일 때, 함수의 기울기이다. 일반적으로 a = 0.01이지만 a = 0.2로 하는 것이 더 나은 성능을 낸다고 저자는 말했다. (교차검증 해보자) 즉 뉴런이 혼수 상태에 오래 있을 수 있지만 다시 깨어날 가능성을 얻게 된다.
-
ReLU보다 항상 성능이 높게 나온다는 논문 결과가 있다.
RReLU (Randomized Leaky ReLU)
-
a를 무작위로 선택하고 테스트시에 평균을 사용한다.
-
괜찮은 결과가 나오며, 규제 역할도 할 수 있다.
PReLU (Parametric Leaky ReLU)
-
a 자체를 학습시킨다.
-
대규모 이미지셋에서는 ReLU보다 성능이 크게 앞섰지만, 소규모 데이터셋에서는 훈련세트에 과대적합될 위험이 있다.
ELU (Exponential Linear Unit)
-
다른 모든 ReLU 변종의 성능을 앞질렀다.
-
훈련 시간이 줄고 신경망의 테스트 세트 성능도 더 높았다.
-
ELU 장점
-
활성화 함수의 평균 출력이 0에 가까워진다. 그레디언트 소실 문제를 완화해준다.
-
z가 음수여도 그레디언트가 0이 아니므로 죽은 뉴런을 만들지 않는다.
-
a가 1일 때, z = 0에서 기울기가 1로 모든 구간이 매끄러우므로 경사하강법의 속도를 높여준다.
-
-
ELU 단점
- 훈련하는 동안에 최적에 수렴 속도가 빠르지만 테스트 시에는 ReLU보다 속도가 느리다.
SELU (Scaled ELU)
-
완전 연결 층만 쌓아서 신경망을 만들고 모든 은닉층이 SELU 함수를 사용하면 자기 정규화 된다 => 훈련하는 동안 평균 0과 표준편차 1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
자기 정규화 발생 조건
-
입력 특성이 반드시 표준화(평균0, 표준편차1)되어야한다.
-
모든 은닉층의 가중치는 르쿤 정규분포 초기화로 초기화 되어야한다. kernel_initializer=’lecun_normal’
-
네트워크가 일렬로 쌓여야한다.
-
TIP
-
일반적인 은닉층 활성화 함수 사용 순위
SELU > ELU > LeakyReLU(그리고 변종들) > LeLU > tanh > 로지스틱
-
자기 정규화되지 못하는 구조 => ELU
-
실행 속도 중요 => LeakyReLU
-
신경망이 과대적합되었다면 => RReLU
-
훈련세트가 아주 크다면 PReLU
-
속도가 중요하다면 => ReLU
(많은 라이브러리와 하드웨어 가속기들이 ReLU에 특화되어 최적화되어있기 때문)
# LeakyReLU 활성화 함수
model = keras.models.Sequential([
# [...]
keras.layers.Dense(10, kernel_initialize='he_normal'),
keras.layers.LeakyReLU(alpha=0.2),
# [...]
])
# PReLU 활성화 함수
model = keras.models.Sequential([
# [...]
keras.layers.Dense(10, kernel_initialize='he_normal'),
keras.layers.PReLU(),
# [...]
])
# SELU 활성화 함수
keras.layers.Dense(10, activation='selu', kernel_initialize='lecun_normal')
지금까지 그레디언트 소실과 ReLU 활성화 함수 그리고 ReLU의 변종 함수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그레디언트 소실, 폭주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인 배치 정규화에 대해 다뤄볼 것이다.
댓글남기기